1. 서문 관련 논문 리뷰
2. evaluation 방법생각
3. 모을수 있는 데이터 확인 및 실제 데이터 구축.
1. 서문 관련 논문 리뷰
2. evaluation 방법생각
3. 모을수 있는 데이터 확인 및 실제 데이터 구축.
static public void decodeYUV420SP(int[] rgb, byte[] yuv420sp, int width, int height) {
final int frameSize = width * height;
for (int j = 0, yp = 0; j < height; j++) {
int uvp = frameSize + (j >> 1) * width, u = 0, v = 0;
for (int i = 0; i < width; i++, yp++) {
int y = (0xff & ((int) yuv420sp[yp])) - 16;
if (y < 0) y = 0;
if ((i & 1) == 0) {
v = (0xff & yuv420sp[uvp++]) - 128;
u = (0xff & yuv420sp[uvp++]) - 128;
}
int y1192 = 1192 * y;
int r = (y1192 + 1634 * v);
int g = (y1192 - 833 * v - 400 * u);
int b = (y1192 + 2066 * u);
if (r < 0) r = 0; else if (r > 262143) r = 262143;
if (g < 0) g = 0; else if (g > 262143) g = 262143;
if (b < 0) b = 0; else if (b > 262143) b = 262143;
rgb[yp] = 0xff000000 | ((r << 6) & 0xff0000) | ((g >> 2) & 0xff00) | ((b >> 10) & 0xff);
}
}
}
1. 카메라에서는 계속 받는다.
2. 카메라에서 받는 그림을 Opencv로 보내는 함수
를 짠다.
3. Opencv로 부터 가위, 바위, 보 세가지중 하나를
받는 함수를 짠다.
1. 이 사람은 분명히 소스가 있을 것이다. 이유는 실험시 소스가 없는 경우는 없을 것이므로.
2. FollowingRelation.getSource(String target)으로 source를 찾는다.
3. TwitterCrawler.getFollower()로 tareget의 status를 찾는다.
4. 이 방법도 안통하면 그냥 o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