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 1,2
2011-11-30 12:09:35

propositional to/from predicate

SEQUENTIAL-COVERING(Target-Attribute, Attributes, Examples, Threshold)

LEARN_ONE_RUL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ID3 and Sequential covering algorithm

- To implement LEARN-ONE-RULE in similar way as in decision tree learning(ID3), but to follow only the most promising branch in the tree at each step.

▼ more
ML 1
2011-11-29 11:59:33

propositional to/from predicate

▼ more
기분 나쁜
2011-11-28 09:35:30

머리아픔

▼ more
도시구성요소
2011-11-21 18:38:22

  도시(都市) 자체(自體)는 하나의 거대한 복합체(complex)이므로 그 자체로서 복잡한 機能과 공간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도시를 어떻게 구성되고 조직되어 있으며 어떻게 변화하여 갈 것인지에 관하여 다양한 분야(分野)의 많은 都市學者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 오고 있다. 여기서 도시의 구성요소(構成要素)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본다.

 

 가. 構成要素(구성요소)

 도시란 무엇이며 어떻게 조직되어 체계적으로 나아가는가에 대한 확실한 정답은 유보(留保)할 수밖에 없을지 몰라도 분명한 것은 도심지는 공간적으로 공통적인 구성요소를 갖는 존재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餘地)가 없으며 그 構成要素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人口(인구,population)

 도시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그 상호관계도 매우 복잡하고 무질서하게 보인다. 도시내의 인간활동은 아무리 복잡하게 얽혀 있어도 어디까지나 일정한 목적을 가지면서도 체계적(體系的)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서의 인구는 도시의 생활주체로서 혹은 도심지를 구성하는 동시에 도심지공간을 연속적(連續的)으로 변화시켜 가는 적극적 주체(主體)로서 도시문화 연구의 주요한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인간들이 도시로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도시에서 어떠한 활동(活動)을 어떻게 하는지에 관한 계속적인 의문점(疑問點)들은 도심지에 대한 社會․人類學的인 배경 중의 하나로 作用하고 있다.

 

  2). 活動(활동,activity)

 모든 活動의 목적은 주체 및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활동 그 자체를 유발하는 목적은 일정할 것이다. 도시로 모여든 인간들이 개개인의 활동과 이익을 위하여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내 활동으로서 이러한 도심지 공간 속에서의 活動은 집중되거나 도심지 공간에 특성을 부여하기도 하면서 도심지(都心地)의 활용패턴을 형성하게 되어 都心地의 토지이용을 결정하거나 변화하게 한다. 그 중에서도 업무(業務) 및 상업(商業)이나 주거지활동(住居地 活動)은 도심지 공간을 이루게 되는 경제,사회적인 영역의 핵심(核心)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시내의 활동은 무질서하기보다는 질서(秩序)를 유지구축(維持․構築)하는 행위 및 그 과정(過程)이며, 도시공간을 역동적(力動的)으로 이용하거나 도심지 형성에 결저적(決定的)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土地(토지,land)

 도시공간의 토지는 人間活動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반으로서 도심지의 입지와 활동에 의하여 형성되며 변화하는 절대적이고 공간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는 물리(物理), 지리적(地理的)인 要素이다. 하지만 토지는 단순한 물리적이고 지리학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라 인간의 각종 활동의 일부분(一部分)이 도심지 공간내에서 투영(投影)된 결과인 동시에 경제재(經濟財)로서의 공간형성에 경제적이고 심리적인 제약과 장려를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요소이기도 하다.

한편, 土地는 20세기 자본주의 국가에서 점차적으로 사용재(私用財) 보다는 공공재(公共財)로서 인식�\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기 시작하면서 근대의 소유권 저대주의(絶對主義)에서 소유권 상대주의(相對主義)에로의 변화를 가져오기에 이르렀으며, 公共的인 가치로 보는 동시에 도시 개발의 제한요소가 되기도 하며, 도심지 입지활용의 계기(契機)가 되는 공간가치로서의 도심지 토지이용의 경제적인 合理性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趨勢)이다.

 

 4). 利用施設(이용시설,use facilities)

 都市는 사람이 살고 시설이 있는 장소다. 즉, 都市는 그 특성상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며, 사람들이 보금자리를 꾸미고 일하고 휴식을 취하는 장소이고 일터, 시장, 학교, 공공기관과 문화 및 여가시설 등 제반 시설이 존재하는 곳이다.

그리고 도심지 공간이 物理的으로 형성되면서 더불어 조경요소로서도 작용하는 도심지의 하부구조(urban center infra-structure)나 특수한 구조물들도 도심지 공간을 만드는 요소이기는 하지만, 인간이 포함되어 있고 경제적인 가치를 수반하는 핵심적(核心的)인 시설은 건축구조물(建築構造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도시의 建築物은 토지 위에 인간의 각종 활동이 지리적 및 물리적으로 투영된 양상으로 표현되는 과정 속에서 도심지의 구조가 형성되고 또 다른 공간으로서의 변화(變化)나 전이(轉移)를 준비하게 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각종 구조물들은 토지 위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객체인 동시에 土地利用 方式과 效率性을 증감시키는 經濟財로서 도심지 공간을 수평적(水平的) 혹은 수직적(垂直的)으로 확산시키는 토지이용의 대표적인 결과의 표현물(表現物)로 나타난다.

 

 건축이나 각종 시설물(施設物)의 이용 행태와 형태 및 그 변화의 양상(樣相)을 알 수 있다면, 그것은 중요한 도심지 공간구조의 연구에 결정적인 단서와 지표를 제공할 것이며, 도심지 공간의 활동에 따른 형성과 변화의 요소로서의 공간계획과 도시설계의 예측 對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위에서 언급한 도시공간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인간과 활동을 人文的․社會的인 要素라고 한다면, 토지와 이용시설은 地理的․物理的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요소상호간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요소라는 것은 없으며, 각 구성요소들 상호간의 긴밀한 연관(聯關) 속에서 작용하는 것으로서 도심지 연구의 대상은 어느 것 하나 결국은 도심지 공간의 구조적(構造的) 현상에 대한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사실의 발견을 통하여 그 一般性이나 制度化를 유도(誘導)해 가는 구조적인 모델을 시도하는 것으로서 도시는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 more